1. 수업매체의 정의와 종류
1) 수업매체의 정의
매체(media)는 의사소통에 있어서 송신자(sender)와 수신자(receiver) 사이를 연결하는 매개체 혹은 전달체로서 필름, TV, 도표, 인쇄자료, 컴퓨터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매체들이 수업내용을 전달하는 데 사용될 때 수업매체라고 말한다. 매체활용의 기본적인 목적은 필요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수업매체란 교육목표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달성되도록 하기 위해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다양한 형태의 매개 수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수업매체의 종류 (데일의 분류)
데일(Dale)은 추상성과 구체성의 정도에 따라 수업매체를 분류한 ‘경험의 원추’라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경험의 원추의 맨 아래에는 가장 구체적인 “직접적이고 목적적인 경험”을 두고, 위로 올라갈수록 보다 추상적인 매체들이 제시되고, 가장 추상적인 것으로 “시각기호”와 “언어기호”를 들고 있다. 경험의 원추에 의하면 학습자들은 실제로 경험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점차 실제 사건의 관찰자로,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실제적 사태의 관찰자로, 마지막으로 사태를 표현하는 상징체계의 관찰자로 이동할 수 있다.
데일에 의하면 학습자들이 현실 세계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경험했는가의 정도에 따라서 추상적인 수업활동의 효과성이 결정될 수 있다. 경험의 원추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일반적으로 매체의 추상성이 증대되고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정보가 압축될 수 있다. 동일한 정보를 비디오테이프, 녹화, 일련의 시각 상징물이나 언어적 상징물로 학습자들에게 제시하는 것보다 직접적·목적적 경험, 구성된 경험 또는 극화된 경험으로 제시하는 것은 보다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3) 수업매체 활용의 필요성
(1) 구체적 경험 대 추상적 경험
직접적 경험이나 영상적인 표현은 언어와 같은 상징물보다 더 의미가 정확하게 전달되고 이해하기 쉽다. 따라서 추상적인 개념을 제시할 때는 글이나 언어보다는 그래프나 그림과 같은 영상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이해를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수업매체는 이러한 구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업매체는 필요한 구체적인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사전의 경험을 통합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습자들이 일반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들을 통합하여 추상적인 개념을 유의미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수업매체는 이러한 다양한 경험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사전 경험들을 통합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주의 획득과 동기유발
수업매체는 학습자의 주의를 끄는 특성이 있다. 학습자들은 청각적인 자극보다 시각적인 자극에 더 민감하며, 시청각적 자극이 주어질 때 학습의 효과가 더 높아진다. 따라서 시청각적 매체를 이용할 때 학습자들이 더 주의를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학습효과도 더 높아진다. 수업매체는 또한 언어나 문자 정보와 함께 시각적인 자극을 동시에 이용하여 정보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냄으로써 이해를 쉽사리 할 수 있는 풍부한 채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학습자에 따라 언어로써는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을 다른 형태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다양성을 부여해 준다. 따라서 수업매체는 정보의 전달을 명료하게 해주고, 이해를 촉진시키고, 동기를 유발함으로써 교수의 질을 높여 주게 된다.
'교육 >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매체 활용 모형(ASSURE 모델) (0) | 2021.06.27 |
---|---|
수업매체 선정시 고려사항 (0) | 2021.06.27 |
효과적인 발문 전략 (0) | 2021.06.24 |
수업 전략 및 기법 정리(수업목표진술/동기유발/ARCS모형/학습자참여) (0) | 2021.06.24 |
수업과 수업설계 정리 (ADDIE모형과 Dick&Carey모형(딕앤캐리모형)) (0)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