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교육공학

[백워드 수업설계] 전통적 수업설계의 문제점과 백워드 디자인(Backword Design)의 특징

범자파파 2021. 9. 2. 10:42
728x90

1. 전통적 수업설계의 문제점

 

1) 학습의 문제

  전통적 수업 설계를 따라가다 보면 학습에 있어서 많은 문제들이 보인다. 

  첫째, 학습의 양이 과도하다. 우리나라는 과목이 세분화되어 있고 교과별 위계를 통해 교과의 필요성을 강조하다 보니 교과서가 두껍고, 학습내용이 많아지고 배워야할 내용이 많아지게 되었다.

  둘째, 빠르게 배워야 한다. 학기당 배워야 하는 양이 정해져 있다보니 성찰의 시간없이 계속해서 배워야 한다.

  셋째, 활동수업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과정중심평가와 자유학기제 등 활동수업을 강조하다보니 기존의 교육과정을 다이어트하지 않고 활동수업만 늘렸다. 성취기준 달성을 목표로 활동이 이루어 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활동을 위한 수업이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왜 이 활동을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왜 배우는지 모르는 교육이다. 삶과 학습이 불리되어 있다. 실제의 삶과 분리된 교육은 공부를 위한 공부, 성적을 위한 학습이 되고 만다. 

 

 2) 수업 설계의 문제 

 전통적 수업설계는 소위 테일러식 설계방법을 따른다. 수업목표 설정-목표에 따른 하위내용-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수업전략(방법) - 목표 달성을 확인하는 형성평가로 이어지는 결과이다. 이러한 방식을 Forwaed Design이라 한다. 이러한 수업설계는 목표와 결과의 간극을 늘리기 마련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업을 설계하면, 학생들이 참여할것인지, 무슨 자료를 활용할지를 생각하게 되며, 이것은 학습에 초점을 맞춘 수업이 아닌 교수에 초점을 맞춘 학습이 되고 만다. 

전통적인 Forward

 

 2. 백워드 수업설계

 

피상적 학습을 극복하고 우리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길을 모색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 등장하고 있다. 어떻게 우리 학생들이 진정한 학습을 이룰 있도록 도와 있는가? 이러한 문제 를 개선하고 진정한 학습을 이루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Backward Design 방식이다. 백워드 설계는 개념 적으로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왔으나 실체가 있는 구체적인 설계 모형으로서는 1998년에 Wiggins McTighe 의해 단원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틀로 제시되었다.

 

1) 백워드 설계의 특징

백워드 설계의 특징은 크게 첫째, 교육과정 설계 절차상의 획기적인 변화를 포함하며 목표 성취를 위해 평가를 강조한 모형이다. 둘째, 전이 가능이 높은 주요 아이디어에 초점을 둔다. 셋째, 학습자의 진정한 이해를 강조한다는 가지 측면에서 제시할 있다. 구체적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백워드 설계는 교육과정 설계 절차상의 획기적인 변화로 목표 성취를 위해 평가를 강조한 모형이 .

일반적인 수업 설계는 Tyler(1949)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따라 수업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경험을 조직하며 마지막으로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백워드 설계는 평가를 수업 계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따라서 수업 목표 다음 단계에 학생들이 학습한 결과의 증거로 인정할 있는 평가에 대한 내용을 먼저 설정해 두고 학습 경험을 선정한다. , 내용과 방법이 주도하는 설계가 아니라 평가가 주도하는 설계방식으로 수업 후에 평가를 고려하였던 종전의 수업 설계와 비교했을 때 역순이라는 점에서 백워드(backward)’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Backward Design 현재까지 용어가 통일되 않은 ,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후방위 설계’, ‘역행 설계’,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모형 다양한 용어가 혼용되고 있다. 하지만 본 연수에서는 원어에 충실하여백워드 설계라고 부르겠다(이지은, 2011).

둘째, 백워드 설계는 전이 가능성이 높은 주요 아이디어에 초점을 둔다.

백워드 설계의 주요 아이디어는 Bruner지식의 구조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무엇을 가르쳐야 하 는가?라는 질문에 Bruner 지식의 구조를 가르쳐야 한다고 대답하고 있다. 지식의 구조란 학문의 기저 이루고 있는 일반적인 아이디어’, 기본 개념’, 일반적 원리 동의어로 있다. 학문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 구조와 관련 없는 특수한 사실을 가르치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따라서 학습자가 이해할 , 기억하기 쉽고, 학습 이외의 사태에도 활용할 있도록 구조를 학습해야 한다고 한다. , 어떤 상황 이나 현상의 심층부에 있는 핵심적인 아이디어, 개념, 혹은 원리를 이해시키는 것이 교수의 효율성과 습의 경제성을 높일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알게 주는 내용, 교과에서 무엇을 가르칠 있는가보다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셋째, 백워드 설계는 학생의 진정한 이해를 강조한다.

학교 교육의 성패는 학생들의 진정한 학습으로 결정이 된다. 학생들이 학습을 통해 이해하는 것에 최종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이해라는 말을 흔히 사용하지만 막상 이해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 에는 선뜻 대답하기 어렵다. 이는, 이해는 추상적이고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호하기 때문일 것이다. Wiggins McTighe는 다양한 의미를 지니는 함축하고 있는 이해를 여섯 측면 -설명(explanation), 해석 (interpretation), 적용(application), 관점(perspective), 공감(empathy), 자기지식(self-knowledge)-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교육과정의 목표를 이해라는 용어로 제시한 것으로 있다. 또한 습자의 진정한 이해를 위해서는 여섯 가지 측면을 모두 개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백워드 설계는 교사들로 하여금 교육과정 내용에서 주요 아이디어를 확인하여 선택하고 학생들이 진정한 이해에 도달하도록 학습목표 설정평가 계획 수립학습경험 선정의 순으로 수업을 설계하며 평가에 역점을 두는 교육과정 설계방법이다. , 목표를 세우고 그와 연계된 평가 계획과 기준을 수립한 다음 학습 경험이나 수업 활동을 설계하는 Backward Design 방식에서는 진정한 이해(authentic understanding)’ 강조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