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교육공학

수업지도안 작성의 실제1 - (고려요인, 수업안 체제)

범자파파 2021. 6. 27. 20:32
728x90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따라 수업안의 구성과 형식 결정된다. 단원의 지도계획(계열화)을 작성한 후 매 수업 시간별 지도계획 작성하여야 한다. 모든 유목적적인 활동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수업안을 어떻게 입안하느냐는 바로 수업의 성패를 결정하는 요건이 된다.

 

1. 수업 단계별 고려요인

 

. 수업 전의 고려 요인

1) 교사가 얼마나 가르칠 내용의 선택과 결정에 관심을 갖고 결정하는가?

2) 결정된 수업내용은 가용한 수업시간에 적절한가?

3) 수업진도를 어느 정도로 빨리 할 것인가?

4) 학습 집단의 규모와 특성상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 수업과정의 고려 요인

1) 주어진 수업시간을 실제 수업을 위해 가능한 한 많이 활용하고 있는가?

2) 성취 가능한 학습목표를 제시하였는가?

3) 학습자의 실제 학습시간량을 높이기 위한 고려를 하고 있는가?

4)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리를 하고 있는가?

5) 수업내용을 구조화하고 명확히 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가?

6) 수업 중 교사가 던지는 질문의 질은 적절하며 양은 충분한가?

7) 수업 중 교사의 행동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기에 적절한가?

8) 학업중심의 수업분위기가 구축되어 있는가?

9) 협동적인 학습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는가?

 

. 수업 후의 고려 요인

1) 수업목표에 타당한 평가를 하였는가?

2) 평가결과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였는가?

3) 수업중 학생들에게 주는 피드백은 적절했는가?

 

2. 수업안 체제

 

. 단원의 지도계획

1) 단원명: 교과서에서 제시한 단원명이나 생활 경험에서 선정된 문제이다. 실제로 단원명, 제목, 주제 등 교재의 명칭을 기술한다. 기재 방법은 제목식, 방법식, 문제식이 있다.

2) 단원의 개관: 이 단원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의 필요성을 근거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단원 설정의 이유, 대단원에서 학습할 내용 및 단원의 특색 등을 개략적으로 설명기술한다.

) 교재관 : 교재내용 분석을 통한 해당 단원에 대한 교사의 관점

) 학생관 : 교사가 이 단원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생의 실태 파악 및 실태 조사 결과의 해석

) 지도관 : 학생의 실태에 기초한 이 단원의 지도 방법 및 수업상의 유의점

3) 단원의 목표: 이해, 태도, 기능, 사고력 등 교육과정에 있는 해당 지도목표를 참조하며, 차시별 수업 목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포괄적, 종합적이다.

4) 지도상의 유의점: 본 단원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지도상 유의점, 학습지도상 소홀하기 쉬운 점, 본 시간에서 가장 강조하고 싶은 점, 학습자가 오류를 범하기 쉬운 점, 지도상 주의시키고 싶은 점, 학습자의 안전에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한다.

5) 학습과제의 분석: 학습목표의 상세화, 학습 요소간의 관련성, 학습 순서를 밝힌다.

Tips: 과제 분석
- 가르칠 요소가 무엇인지를 명백히 한다. 
- 학습요소들 간의 관련성과 학습 순서를 밝힌다. 
- 학습요소의 중복이나 누락을 찾아내고 필요한 선수학습능력이 무엇인지를 밝혀준다. 

 과제 분석의 절차 
학습 주제 및 영역 분류  하위 내용 추출  학습 내용 조직 및 배열  검토 및 수정 

 내용 분석 방법 : 1) 위계적 분석 2) 절차적 분석 3) 군집적 분석 4) 통합적 분석

6) 단원의 전개계획(한 단원을 기본적으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설계도)

: 수업계열의 결정, 수업전략의 수립과 수업방법 선정, 수업매체의 선정, 평가계획 등을 수립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