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본시 수업안 작성의 실제
50분 수업동안 수업 목표를 달성시킬 수 있는 치밀한 계획이 요구되며, 수업목표(본시), 주요 수업절차, 학습내용, 교수-학습활동, 수업매체, 시간계획이 포함되어야 한다.
1) 목표(본시): 대단원 목표와 관련된 세부적인 것, 본시에 교사 스스로가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 목표, 학습 후 학생이 나타내는 행동과 사고 기능 신장 목표를 명세적으로 진술한다.
Tips: 명세적인 목표 진술 방법 (ABCD진술) • 대상(Audience): 학습자를 명시 (일반적으로 학습자는 생략함) • 행동(Behavior): 학습을 마친 후에 무엇을 달성할 것인지를 관찰 가능한 행동동사로 진술 • 상황(Condition): 도구, 기자재, 참고자료 등이 무엇인가와 특별한 환경 조건 등을 명시 • 정도(Degree): 행동의 만족도를 판단할 준거를 의미하며, 이는 시간제한, 정확한 반응의 범위와 비율, 질적 표준 등으로 명시 |
2) 지도 과정
가) 도입: 학습 준비, 동기 유발, 전시 학습 상기, 수업목표 인식 등 기재 (3~5분 정도)
Tips: 오프닝 기법 학습 도입단계에서 학습자의 시선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인상 깊은 오프닝 기법이 요구된다. 도입단계에서 학습에 몰입할 것인지, 방관할 지를 결정한다. • 학습자의 호기심, 기대, 관심을 증폭할 수 있는 영상이나 이미지 자료를 활용한다. • 학습 주제와 관련 되는 시사적인 이야기를 활용한다. • 적절한 유머를 활용한다. • 학생들의 내재적인, 외재적인 동기를 환기시킨다. • 몸 동작을 활용한다. • 깜짝 퀴즈를 활용한다. |
나) 전개: 학습 내용(지도 내용, 수업 요항), 학습 주제를 수업 진행 순서에 따라 나열, 기술, 수업형태, 교사의 활동 사항, 학습자의 활동 사항(기대되는), 본시 수업에 활용할 자료를 구체화시켜 기재, 유의점 및 도달점을 기록 ( 40분 정도)
Tips: 학교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수업 형태 교과에서 주로 활용되는 수업형태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선행조직자, 문제 중심(PBL), 성취과제분담(STAD), 토의․토론, 발견․탐구학습형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는 다양한 수업형태를 숙지하고 학습 주제에 가장 적합한 수업형태를 선정하되, 수업전개 과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융통성 있게 적용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
다) 정리 : 본시 수업 내용을 총괄하여 조직․기술, 대략 5분 정도
Tips: 수업 정리 기법 수업의 마지막에는 학습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발전시키며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다양한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 수업에서 배운 개념(사실, 원리, 법칙, 공식, 명칭 등)이나 개념들 간의 관계를 도형이나 선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도록 한다. 매 시간 그린 개념도는 복습에 활용할 수 있다. • 모둠별로 질문과 응답을 통해 중요 학습 내용을 요약․정리하도록 한다. 수업 내용 중 반드시 알아야 될 내용으로 문제를 만들도록 지도한다. • 학습 과제를 수행한 과정을 3분 동안 기록하도록 한다. 이 자기분석보고서는 과제를 수행하는 각 단계에서 스스로 어떤 생각을 했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으며, 그 과정에서 새롭게 알게 된 것과 느낀 것 등을 기록한 것이다. |
3) 형성평가 문제 제시 및 차시예고
본시 수업목표의 도달 정도, 수업자의 반성 자료, 학습자의 학습 의욕 촉구, 학습 내용 정리 등의 목적으로 평가문항 작성, 3~4분 정도 실시
4) 예상되는 발전
학습을 통해 이루어질 학생의 예상되는 변화, 본시 학습내용의 응용, 적용 등을 제시
Tips: 전이와 일반화 단순한 암기나 공식에 의한 학습보다는 확실하게 이해된 학습을 하면 학습의 파지와 전이는 높아진다. 여기서 파지란 과거 학습 경험이 계속 유지되는 것을 말하며, 전이란 어떤 내용을 학습한 결과가 다른 내용의 학습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학습한 행동을 익숙한 생활 주변의 문제에 적용해 보는 경험이 많을수록 학습의 전이와 일반화는 높아진다. |
5) 판서 전략
본시 판서 내용을 그대로 간단명료하게 기록한다. 판서 기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가) 사전에 판서의 계획을 세워 계획적으로 판서한다. 특히 말하는 내용을 모두 칠판에 적어서는 안 된다. 이 경우 학습자들은 강의에 집중하기보다 필기를 하는 데 급급하게 된다. 좌측 상단부터 시작하여 중앙, 우측 하단 쪽으로 옮겨가며 판서한다.
나) 판서의 간략성과 명시성을 고려한다. 특히 교수자의 ‘낙서장’으로 활용되어서는 안 된다. 일관성도 없고, 알아보기도 힘든 단어들만 잔뜩 나열된 칠판이 되어서는 안 된다. 공간별 시선 집중도를 고려하여 핵심정보를 제시하도록 한다. 색분필이나 밑줄, 도형 등을 사용하여 핵심을 강조한다.
다) 판서할 때 판서한 글씨가 교사의 몸에 가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라) 강조할 내용과 요점만을 적는다. 가능하면 지우고 쓰기 보다는 내용이 일목요연하게 한 칠판에 제시되도록 한다.
마) 뒷줄에 앉은 학습자도 읽을 수 있도록 글자는 충분히 커야 하며 가능한 정자로 표현한다. 특히 외국어나 공식을 판서하는 경우에 해독에 어려움이 없도록 반듯하게 써야 한다.
6)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수업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교사는 주어진 내용을 학습자에게 설명, 설득, 이해시키기 위해 시선, 자세, 몸짓, 판서 등 능숙한 프레젠테이션 능력을 높여야 한다.
가) 간단 명료하게 한다 - KISS( Keep It Simple Stupid)
나) 학습자를 학습에 참여할 시킬 여러 방안을 사전에 준비한다.
다) 제 멋을 살려 자기 방식으로 브랜드화 한다.
라) One Slide-One Message : 자세한 내용은 말로 설명하거나 인쇄물을 나눠주는 게 좋다.
마) 도식화 : 텍스트를 그림이나 표, 도형, 차트 등으로 변형한다.
바)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 : 이미지, 소리, 동영상, 애니메이션을 적절히 활용한다.
사) 프레젠테이션이 수업의 주인이 되어서는 안됨 : 수업 과정에서 꼭 필요한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 핸드아웃을 제공 : 파워포인트 수업은 자칫 진행 속도가 너무 빨라져 나중에 남는 것이 별로 없고 시험공부를 하려고 해도 필기한 것이 없어 공부하기가 힘들다. 파워포인트 자료를 미리 인쇄한 핸드아웃을 제공함으로써 나중에 복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예비 자료를 준비해야 한다.

* 사범대학교 학생들 교육실습OT자료로 작성한 것임.
* 본시수업지도안 양식이 필요한 경우 댓글 바람
'교육 >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워드 수업설계] 전통적 수업설계의 문제점과 백워드 디자인(Backword Design)의 특징 (0) | 2021.09.02 |
---|---|
수업지도안 작성의 실제1 - (고려요인, 수업안 체제) (0) | 2021.06.27 |
수업용 프리젠텐이션(PPT) 자료 제작 주의사항 (0) | 2021.06.27 |
수업매체 자료의 제작의 실제 (목적/원리) (0) | 2021.06.27 |
수업매체 활용 모형(ASSURE 모델) (0) | 2021.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