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영화 리뷰

블랙스완 감상문 / 감상평 - 심리학적 관점에서

범자파파 2021. 6. 15. 10:51
728x90

 [삼리학점 관점에서 보는 블랙스완 - 나의 견해임 / 태클금지] 

영화의 주인공 니나 세어스는 뉴욕발레단의 연약하지만, 우아하고 순결한 소녀였다. 그녀의 방은 수많은 인형으로 가득 차 있으며, 잠들 때면 어린 아이들에게나 해줄 만한 오르골을 틀어주는 그녀의 엄마는 니나를 소녀로써 보호하고 있는 존재였다. 니나는 소녀의 순수함을 가지고 있는 성실한 발레리나였는데 <백조의 호수>에서 주연을 맞고 싶어 한다. 백조의 호수의 주연은 흰백조와 검은 백조 2가지를 연기를 해야 하는 역할이였다. 하지만, 그녀는 그 순수함 때문에 흰백조로는 인정받았으나 검은백조인 블랙스완을 연기하기에는 부족했다. 블랙스완이 되기 위해서는 왕자를 유혹하는 여성으로서의 성적매력과 백조를 배반하고 왕자를 차지할정도의 욕망이 필요했지만, 니나에게는 부족했다.

뉴욕 발레단의 감독인 토마스 르로이는 니나가 흰백조에는 어울리지만, 블랙스완으로 부족하다고 생각하였지만, 니나의 내면에 있는 블랙스완의 모습을 발견하고 그녀를 주인공으로 발탁하고 그녀를 연습시키지만, 마음에 들이 않았다. 이 때 새롭게 입단한 멤버인 릴리는 정교한 테크닉을 가지지는 못하였지만, 무대를 압도하는 카리스마와 여성으로서의 성적매력을 가지고 있어, 블랙스완으로써의 면모와 자질을 보인다.

주인공은 자신의 자리를 빼앗길 것 같다는 불안감과 릴리의 성적 매력과 비교했을 때의 열등감, 성공에 대한 집착, 발레리나 출신으로 꿈을 포기했던 엄마의 집착으로 인하여 괴로워한다. 블랙스완을 성공적으로 연기하기 위해 감독은 니나의 감춰져 있는 여성을 끄집어 낼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그녀의 엄마는 딸이 소녀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집착을 한다.

주인공은 블랙스완을 완벽하게 연기하기를 원했고, 어머니의 집착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주인공은 자신의 욕구를 억압 시켰던 엄마에게 반항하고 돌발적인 행동을 하게 되면서 그녀의 감춰져 있었던 내면을 분출하게 된다. 그러면서 그녀는 착란현상, 착시현상, 망상, 환청 등의 정신분열증적인 현상을 겪게 된다.

경쟁상대였던 릴리는 니나에게 접근하여 술집으로 데리고 가서 술에 약을 타서 먹이게 된다. 술에 취해 다음날 무대에 늦은 니나는 릴 리가 자신의 대역으로 연습을 하고 있고 있는 것을 보고 그녀에 대한 열등갑과 불안감이 커지게 되고 더 큰 망상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니나는 백조의 호수 주인공에 캐스팅 되었을 대 자신의 등에 상처가 심해지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공연일자가 가까워질수록 상처는 점점 심해져 갑니다. 항상 무의식중에 피가 날 정도로 긁어 덧나고 상처가 된 등 상처에서 깃털이 하나씩 자라는 것을 느끼고, 발가락이 백조의 발처럼 붙고, 눈이 빨갛게 변하는 등 그녀는 심한 망상에 사로잡히게 된다.

이렇게 우여곡절 끝에 주인공은 백조의 호수 공연을 시작하는데, 백조의 연기를 실수하고 내려오는 주인공은 릴리가 흑조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는 말은 듣는 순간, 니나는 바로 반응을 보이며, 깨진 거울로 릴리를 공격하여 그녀의 배를 찌른다. 이 순간 연약하고 순수한 소녀와 같은 니나는 없었다. 깨진 거울처럼 그녀의 자아 역시 깨지고 분열하면서 또 다른 자아가 릴리를 공격하게 된 것이다.

그녀는 무대에 올라가 완벽한 블랙스완 연기를 하고 내려온다. 대기실에서 좀 전에 싸운 흔적은 없고 자신의 배에서 피가 흐르고 있었다. 주인공은 정신분열증으로 인해 자신의 내면에 있는 자아와 싸움을 벌이고 자신의 배를 찌른 것이였다.

이 영화는 정신 분열증이라고 불리는 조현병을 매우 잘 표현하였다. 조현병은 현실에 대한 왜곡된 지각, 비정상적인 정서체험, 사고동기행동의 총제적인 손상과 괴리 등을 수반하는 정신 장애를 일컫는다. 망상(delusion)은 명백히 잘못된 믿음인데도 그 믿음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며 그로 인해 비정상적인 사고와 행동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존재하지 않는 물리적 자극이 정말 존재하는 것처럼 느끼게 되는 환각(hallucination)도 정신분열증의 중요한 증상 중의 하나이다. 이외에도 괴성, 기이한 표정 등 상황과 맥락에 맞지 않는 행동들이 수반하기도 한다. 또한 심한 경우 긴장형 간혹 긴장 행동(catatonic behavior)이라고 하는 운동 장애를 보이기도 하며, 정서적으로 매우 무뎌지는 증상인 부적증상(negative symptom)을 겪기도 한다.

주인공이 이러한 질환을 겪게 되는 계기는 엄마로부터의 억압과 단장, 릴리, 베스와의 갈등, 타인과의 불안한 경쟁, 성공적인 공연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 등에서 비롯된 것이다. 주인공의 자아가 분열상황을 영화에서는 거울을 통하여 많이 표현하였다. 거울은 주인공의 정신적 상태를 반영한 매체체로 이용되었다. 거울 속의 나는 주인공의 또다른 자아를 의미하고 있으며, 거울을 통하여 니나의 뒤틀린 현실인식을 계속하여 인식시키고 있다. 영화 마지막에 드래스룸에서 주인공과 주인공이 만들어낸 자아는 서로 싸움을 벌이는 도중 거울이 깨진다. 이것은 두 인격의 경계가 무너졌음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 주인공은 진정한블랙스완이 된 것이다.

영화를 통하여 정신분열증을 겪고 있는 사람의 심리상태를 잘 이해하게 되었다. 정신분열증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환상과 환청, 환각의 상태를 이해하기 힘들고, 얼마만큼 괴로운 것인지 알지 못했는데 이 영화는 통하여 알게 되었다.

실제 정신분열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바가 없지만, 영화에서는 성공에 대한 강박과 집착, 부모의 양육태도, 심리적인 압박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주인공이 정신분열현상을 겪게 된다. , 스트레스이 정신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화를 통해 깨닫은 점 중 하나는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서 자기존중과 타인존중을 할 줄 아는 인간에 대한 자세와 자신과 타인이 지닌 장점과 한계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728x90